상황별 알림장

●●이 어머니, 안녕하세요?

오늘 놀이 시간에 친구와 역할놀이를 하던 ●●이가 장난스러운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나쁜 말을 내뱉는 모습이 있었습니다. 순간 친구가 놀라는 표정을 짓자, ●●이도 곧바로 당황한 기색을
보였고 교사가 상황을 인지하여 조심스럽게 개입하였습니다.

 

교사는 ●●이에게 지금 했던 말이 듣는 친구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어. 우리 기분 좋은 말로 다시 이야기해 볼까?”라고 차분히 말하며,
올바른 언어 표현으로 바꾸어 말하는 방법을 함께 연습하였습니다.
이후 ●●이는 그러면 이렇게 말하면 돼요?”라고 다시 표현해 보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친구와도 즐겁게 놀이를 이어갔습니다.

 

유아들이 나쁜 말을 사용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TV
나 유튜브 등에서 들은 말을 의미도 모른 채 따라 하거나, 누군가의 시선을 끌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나쁜 말을 사용할 때 주변에서 웃거나 반응을 보이면 흥미를 느껴 반복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아이를 무작정 다그치기보다는 어디서 그런 말을 들었는지, 왜 그런 말을 했는지 차분히
물어보고,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이해해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부모가 평소 사용하는 언어가 아이에게 큰 영향을 주는 만큼, 가정에서도 고운 말을 사용하는
환경을 함께 만들어주시면 좋겠습니다.

 

가정에서도 아이가 사용하는 말을 유심히 들어주시고, 나쁜 말을 사용했을 때는
"이런 말보다는 이렇게 말해보면 어떨까?" 하고 대안을 제시해 주시면 유아가 자연스럽게 바른 언어 습관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가 고운 말을 즐겨 사용하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에서도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언어 사용을 안내하고 지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